공학/자동차

철과 강

eeday 2023. 9. 21. 00:10
반응형

1. 철의 구분

탄소 함량이 2% 이상 : 주철 - 녹는 점이 낮아 주조 공정에 유리 하지만 취성(잘 깨진다)이 있어 소성가공에 불리

탄소 함량이 2% 이하 : 강 - 녹는 점이 높아 주조 공정에 불리 하지만 강도가 높고 연성이 우수하여 소성가공에 유리

 

소성가공 : 프레스 성형, 압연, 단조, 압출, 인발 등 물리적인 힘으로 형태를 변화시켜 가공하는 방법

 

2. 주철의 종류

회주철(Gray Cast Iron) : GC150,150,200,25,300,350 - 저가 일반 주물용 주철

연(구상) 주철 : GCD - 회주철에 소량의 Mg 또는 Ce 첨가 - 회주철보다 인장강도 높음

백주철

가단주철

 

-재료 뒤에 숫자는 인장강도를 의미

인장강도 : 인장을 하면 강도가 떨어지기 시작하는 지점 > necking이 발생하는 시점 > 균열에 시작점

 

3. 주강

강에 특수 합금 원소를 함유하여 주조에 쓰이는 강

 

 

3. 금형재료의 종류

 

 

4. 하중 단위

Pa = N/m2

MPa = 10^6 N/M2 = N/mm2 = (1/9.8) Kgf/mm2

 

5. 항복강도(YS), 인장강도(TS)

YS : 낮을 경우 스프링백 감소 및 낮은 강도에서 성형 가능

TS : 낮을 경우 NECKING 시작 강도 낮음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