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공학/자동차

인장, 인성, 피로

by eeday 2023. 9. 22.
반응형

1. 인장강도 : 재료가 힘을 받아 균열이 생기기 시작하는 강

일반적으로 인장강도 항복강도가 높아지만 성형성 악화(성형하기 어려움) : 스프링백 현상 발생

항복강도가 낮으면 스프링백이 가소하고 낮은 강도에서 성형이 시작되므로 성형에 용이

인장강도가 낮으면 넥킹 시작 강도가 낮음을 의미

 

2. 철과 알루미늄 의 s-s curve

: 알루미늄(탄성계수 낮음) > 철(탄성계수 큼)  : 탄성계수가 높으면 스프링백 현상이 낮음 > 철이 성형이 용이하다.

 

3. 인성

: 재료의 파괴에 대한 저항

고인성소재의 경우 소성변형이 가능(파괴가 잘 안되기 때문에)

저인성의 소재의 경우 쉽게 파괴(취성)

인성은 s-s curve의 아래 면적을 클 수록 크다

 

4. 수소취성

재료의 수소원자가 침투하여 쉽게 파괴되는 현상

 

5. DBTT

탄소양 증가 - 펄라이트 양 증가 - 인성감소

 

6. 피로

인장강도 이하의 응력을 반복해서 받으면 재료가 피로해져 균여링 생기는 강도

피로한 : 어떤 응력 이하에서는 반복 횟수가 많아도 균열이 생기지 않는 강도

반응형

'공학 > 자동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OT STAMPING  (0) 2023.09.22
고강도강  (0) 2023.09.22
금속재료의 상  (0) 2023.09.22
성형  (0) 2023.09.22
철과 강  (0) 2023.09.21

댓글